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신준비

[임신준비] 정자생존기간을 생각하면 정확해 이번달 가임기가 지나갔다 본격적으로 임신준비를 시작한 2023년 5월! 예상 배란일은 16일이였으나 실제로는 18일이었다 이렇게 되면 예상 출생 시점은 설 전날 후후 내 계획대로 간다.. 이번에는 배란일까지 총 3번의 숙제를 했는데 13일 자정 14일 자정 16일 자정 즉, 18일 정오를 배란시점이라고 본다면 배란시점으로부터 각각 1.5일 / 3.5일 / 4.5일 시점에 숙제를 한 것이 된다 건강한 정자가 난자와 만났기를 인터넷에 정자의 생존기간을 찾아봤다 여자 몸속에서 평균적으로 3일 정도 생존하며 이는 평균이기 때문에 건강한 정자는 길게는 5일까지도 살아있는다고 한다 아주 완벽한 것 같다... 갓벽한 시점에 숙제를 한 것 같음 특히 딸 낳으려면 적어도 배란일 2-3일 전에 하는게 좋고, 금욕하다가 한.. 더보기
[임신준비] 증상놀이 기록 배란이 월요일날 되었고 오늘이 일요일이니 사실상 착상도 안했을 때라 전혀 증상이 없는게 맞는데 그래도 매일 난자와 정자는 만났을까? 상상하며 증상놀이를 즐기고 있다 그리고 우연히 가입한 뺑구닷컴에서 원서 핫딜을 해서 (사실은 이 핫딜 때문에 가입함) 오늘 아침에 B세트와 C세트 2개를 질렀다 한 권이 굉장히 얇아서 한 권이라고 볼 수도 없지만 원서 총 30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난 진짜 별나다 유난이라고 얘기해도 어쩔 슈 없다 난 어려서부터 별났고 유난스러웠으니까... 그냥 유난 = 내 라이프고 내 인생인듯 내가 발음이 좋은 건 아니지만 그나마 영어 중에서 읽기를 상당히 좋아했다 듣는건 안 들려서 싫은데 읽는 건 좋아 ㅎㅎㅎ 내가 지루하지 않게 읽을 용으로 좋을 것 같다 여하튼 적어보는 나의 (임신 2주.. 더보기
[임신준비] 스마일 배란테스트기 / 너희는 만났니? 첫 임신준비를 했다ㅋㅋㅋㅋ 이렇게 말하니까 뭔가 웃긴데 적극적 임신노력을 처음 했다. 피임도 안 하고, 배테기 해서 배란일자도 알아보고, 날짜 맞춰서 숙제를 했다 나는 가능하면 12월생은 낳고 싶지 않다. 4월 중순에 배란하면 예정일이 1월 8일인가 9일인가 너무 이르다ㅋㅋㅋ 까딱해서 37주나 38주에 아가가 나오면 너무 아쉬울 것 같고.. 이 때문에 막달에는 뭘하든 애기가 나올까봐 불안할 것 같다. 그리고 남편이 이번달에 회사 때문에 스트레스가 절정에 다달았다. 24시간 회사일을 머리에서 떨칠수가 없고 그렇게 잘 자는 사람이 불면증이 생겨 아침에 알람 없이 새벽에 일어났다고 한다. 미약한 공황장애 증상까지 보였다. 그런 오빠에게 111이든 222이든 내 뜻대로 하자고 하기가 뭐했다. 그리고 내 배란은 .. 더보기
생리주기 긴 사람의 임신주수계산기 저는 생리주기가 딱 정확하지는 않고 주기도 30일 ~ 35일 정도로 평균이라고 불리는 28일보다 긴 편이에요 2024년생을 낳으려고 준비하다보니 네이버 임신주수계산기를 자주 돌려보게 되는데요 네이버는 주기가 28일인 산모를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해준다고 해요 아무래도 저와 같은 사람에게는 정확도가 떨어지겠죠? 그래서 생리주기가 28일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임신주수계산기를 찾았습니다 :)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선택하고 생리주기를 입력한 뒤 “계산” 버튼을 누르면 짠! 주기가 반영된 출산예정일이 나온답니다 2024년생으로 계획했다가 2023년 12월에 낳으면 아쉬움이 있을 것 같아서 4월 숙제를 건너뛰어야하나 고민이었는데요ㅋㅋ 아니면 숙제를 대충(?)하거나ㅋㅋㅋㅋ 1월 9일 예정일이라면... 진짜 38주 0일.. 더보기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보건소 산전검사) 신청하기 나랑 남편은 이제 결혼한 지 1년 2개월 쯤 되었고, 내년쯤 슬슬 아이를 가져볼까 생각하고 있다. 벌써 아이 엄마가 된 친구들은 빨리 빨리 낳아서 같이 기르자고 성화지만 아직은 마음의 준비가 되질 않았고 2년 꽉채워 신혼 생활 즐기고 나면 아이를 가져도 덜(?) 억울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다.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직장이 서울인 부부/예비부부라면 보건소에서 지원하는 산전검사를 신청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신청해보았다. 우리는 성동구 주민이기 때문에 성동구 보건소 사이트에 들어가서 먼저 알아보았는데, 모든 구에서 유사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니 자신의 지자체 보건소에 들어가서 확인 가능하다. 예약 방법 성동구 보건소는 매주 화요일에 검사하고 전화로 예약해야 한다 (02-2286-7167) 5월 말쯤 .. 더보기

반응형